사물놀이

사물놀이는 사물(꽹과리, , 장구, )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계열의 국악이며, 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덕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사물놀이》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이다. 이들은 기존의 풍물놀이에 비해 앉은반으로 풍물가락을 실내 연주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주로 호남풍물, 짝드름, 웃다리풍물, 설장구놀이, 영남풍물 등을 연주한다.흔히 꽹과리 소리는 천둥, 징 소리는 바람, 장구 소리는 비, 북소리는 구름에 빗대어 말하곤 한다.

전통적이지만 새롭게 창안된 음악답게 사물놀이패는 관현악단과 협연하거나 재즈 밴드와 함께 공연하는 등 다양한 이색 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꽹과리는 천둥을 의미하고, 징은 바람, 북은 구름, 장구는 비를 의미한다. 음양을 나누어 구분하면 가죽으로 만든 북과 장구는 땅의 소리를 나타내고, 쇠로 만든 징과 꽹과리는 하늘의 소리를 나타낸다. 꽹과리는 덩치가 가장 작으면서 소리는 가장 도도라져서 사물놀이에서 지휘자의 역할을 맡는다. 징은 천을 뭉툭하게 감은 채로 치기 때문에 소리가 여운이 길고 푸짐하다. 사물들 중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한다고도 한다. 장단의 머리박에 한 번씩 쳐주어 전체 가락을 푸근하게 감싼다. 장고는 양손에 채를 들고 치는데 높은 음이 나는 쪽을 열편 혹은 채편이라 부르고, 낮은 음이 나는 쪽을 궁편 혹은 궁글편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각각의 채를 열채, 궁채라고 한다. 사물놀이에서는 꽹과리가 지휘를 맡지만 이를 제외하면 사실 박자의 빠르기나 시작, 그리고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북은 꽹과리와 장고가 집을 지을 수 있도록 터를 만들어 주고, 든든한 기둥을 세우는 역할을 한다.

  • 앉은반 – 앉은 자세로 연주하는 형태
  • 선반 – 선 자세로 연주하는 형태
  • 웃다리풍물 – 주로 경기,충청지역의 풍물놀이
  • 좌도/우도 – 호남을 동서로 나눠 서울에서 보았을때 좌측인 동쪽의 산악지역을 좌도라 하고 우측인 서쪽의 평야지역을 우도라 한다.

판굿은 머리에 상모를 쓰고 몸에는 악기를 메고 악기를 치며 춤을 추며 다양한 진풀이를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 사물놀이가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라면 판굿은 치배들의 모든 기량을 보여주며, 화려한 장단과 상모놀이의 기예가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우리 민족의 전통연희 중 대중성이 가장 강한 장르이다. 공연자와 관객이 함께 호흡하며 최고의 신명을 느낄 수 있는 풍물의 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놀이 판굿은 거의 비슷하다고 느껴지지만 그 짜임새와 그것을 노는 연희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이 나온다.

SAMULNORI is a traditional Korean music played by the percussion instruments of Kkanenggari, Puk, Changgo and Ching.
It’s portrays Korean emotions by repeating the relaxed and tense musical rhythems.

1) Hwimori Karak
Hwimori : a noun form of ‘to sweep-away’
Karak : the length of sound and the harmony of pitch

A fast rhythm of two beats as if the wind is sweeping away.
The fastest rhythm in two beats of Samulnori.

 

[사물놀이의 이해]

대금, 피리,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등과 같이 주요 국악기는 모두 산조라는 연주 영역을 가지고 있다.

산조의 장단은 예외 없이 ‘진양→중머리→중중머리→자진머리’라는 ‘느린 것’에서 점차 ‘빠른 것’으로 변화하는 네 가지 장단틀이 그 골격을 이룬다. 그리고 여기에 악기 혹은 유파에 따라 단머리(세산조시, 혹은 휘머리라고 하는데 휘머리는 유파에 따라 빠른 자진머리를 뜻하기도 한다)나 엇중머리 또는 엇머리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단머리, 엇중머리, 엇머리 등의 장단이 추가되는 산조는 대개 음악적 변화가 많은 가야금 산조, 그리고 일부 거문고산조에서 나타난다.

아무튼 이렇게 산조는 느린 음악에서 빠른 음악, 즉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변화하는 속도 지향적인 형식 틀을 지니고 있다. 산조에서 장단의 변화는 악장의 성격을 결정지을 만큼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속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사물놀이 역시 느린 음악에서 점차 빠른 음악으로 변화하는 속도 지향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물놀이는 ‘타악의 산조’라 불러도 좋은 것이다.

풍물굿은 야외에서 여러 사람이 많은 악기를 동원해 계속 움직이면서 다채로운 춤사위와 발림 그리고 다양한 진법 놀이(진풀이)와 개인놀음 등을 통해 신명을 보여주는 놀이이다.

그러나 사물놀이는 실내에서 한 자리에 붙박이로 앉아서 오로지 사물의 리듬을 보다 치밀하고 정교하게, 그리고 보다 계획적이며 체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우리 민속 장단의 극단적인 아름다움과 신명을 느끼게 하는 놀이이다.

풍물굿은 가락에 있어서 맺고 푸는 가락이 계속해서 반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사물놀이의 가락은 느린 것에서 빠른 것으로 이행하는 점층적 가속의 틀을 지니고 있다.

< 사물악기 소개>

● 장구(杖鼓)

장구는 채(杖)로 치는 북(鼓)이라는 뜻으로, 허리가 간ㄹ다 해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지금은 울림통을 오동나무로 만들지만 옛날에는 토기나 청자 같은 것으로 만들기도 했다. 낮고 깊은 울림이 나는 궁편은 손으로 치거나 나무를 둥글게 깎아 만든 궁굴채로 치고, 채편은 대나무를 얇게 깎은 채로 쳐서 높고 맑은 소리를 낸다. 궁중음악에서부터 민속음악 반주에서 정확한 박자를 짚어 주는 악기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타악 합주곡인 풍물굿이나 사물놀이에서는 화려한 가락을 담당한다.

 

● 꽹과리

꽹과리는 민속음악을 연주할 때 부르는 이름이며, 궁중음악을 연주할 때는 소금(小金)이라고 한다. 소리가 크고 명쾌해서 농촌의 풍물굿에서는 전체 음악의 흐름을 이끌고, 사물놀이나 무속 음악에서는 변화무쌍한 장단의 변화를 주도한다. 놋쇠로 만든 몸체를 나무를 깎아 만든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울림을 살리거나 손바닥으로 막아서 소리를 멈추는 두 가지 기법을 사용해 연주한다.

 

● 북

나무를 깎아 만든 울림통에 가죽을 입혀 만든 타악기를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여기에는 사찰에서 연주하는 법고나 궁중 제례음악에서 사용되는 진고, 노고 등 다양한 종류의 북이 포함된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북으로는 풍물굿이나 사물놀이에서 연주하는 ‘풍물북’과는 판소리 반주를 담당하는 ‘소리북’의 두 가지가 있는데, 풍물북은 양쪽의 가죽을 줄로 엮어서 고정시켜 만들기 때문에 ‘줄북’이라고도 한다. 소리북은 가죽을 징으로 고정시킨 것으로, 북채를 울림통을 두드려 소리를 내기도 한다.

 

● 징

궁중음악에서 연주될 때는 대금(大金)이라고도 한다. 꽹과리처럼 놋쇠로 만들지만 크기가 크고, 헝겊을 감은 채로 쳐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여운이 길고, 깊고 부드러운 음색이 특징이다. 대취타에서는 음악의 시작을, 종료제례악에서는 음악을 끝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풍물굿, 불교음악, 무속음악, 군악 등에 두루 연주된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reate a website or blog at Word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