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奚琴)

● 해금(奚琴)

북방 유목민족인 ‘해족(奚族)’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되었다. 대나무로 만든 공명통 위에 두 줄을 걸고, 줄 사이에 말총으로 만든 활대를 끼워 넣어 줄을 긁어서 소리를 내는데, 두 개의 줄을 손가락으로 감싸 쥐고, 죄고 푸는 것으로 음정을 조절한다. 궁중의 제례음악에서부터 떠돌이 악사들의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에서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애절한 음색이 부각되면서 창작음악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Yoo, Kyoung 2

한국문화원(Korean Cultural Center) 김봉수 원장
전미나 해금 선생님

Create a website or blog at WordPress.com